-
[TCP/IP] CH 6 보안CS📟 2022. 9. 17. 19:31
공유키
하나의 키로 암호화/복호화가 가능한 방법
키를 공유할 모든 사람에게 공유해야 하므로 부담이 되는 방법
공개키
암호화키와 복호화키를 세트로 관리
- 개인키(비밀키) : 자신이 가지는 키
- 공개키 :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키.
- 개인 키로 복호화하고, 공개 키로 암호화
- 공개키가 있어도 복호화가 불가능
전자인증서
인증 기관이 발핼한 전자 인증서를 보고 상대가 신분을 사칭하고 있는 지 위변조가 있는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본인이라는 것을 증명
- CA ( Certification Authority )
- 한국정보인증, 코스콤, 한국전자인증, 한국무역정보통신, 금융결재원
전자서명
-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
- 반드시 개인키로 암호화
- 개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는 공개키로 복호화
이메일을 안전하게 전달
S/MIME(secure /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tion)
- 이메일을 암복호화 할때는 공개키와 공유키를 조합 사용
- 공유키 방식을 조합하는 이유
- 이메일 본문을 공개키 방식으로 암복호화하는 것보다 공유키 방식으로 암복호화하는 것이 연산처리에서 부담이 적음
SSL / TLS
- SSL ( Secure Sockets Layer), TLS(Transport Layer Secure)
- SSL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개발하였고, IETF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는 이것을 TLS 로 퓨준화 후에 기존의 SSL을 대체
- TSL 대신 SSL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음
- HTTPS
- HTTP + SSL/TLS을 적용한 것
SSH ( Secure Shell )
- 원격지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
- 공개키와 공유키를 조합하여 사용
- 전자인증서를 사용하지 않음
방화벽
패킷 필터
- IP 어드레스나 포트 번호를 보고 제어
서킷 레벨 게이트웨이
- 통신 쌍방을 직접 연결하지 못하게 하고 중간에서 통신을 중계
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
-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다루는 URL이나 텍스트 정보를 보고 판단
무선랜 보안
- WEP(Wired Equipment Privacy)
- IEEE 802.11의 일부
- 사용자가 지정한 WEP 티와 24비트의 초기화 벡터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에 필요한 키를 생성
- 취약점이 발견되어 현재는 사용 x
- 공유비밀키의 KEY ID를 평문으로 전달 하므로 암호화 키가 추출될 수 있음
- WPA(Wi-fi Protected Access)
- 48비트의 패스프레이즈에 MAC 에드레스의 해시 값을 합친 128비트의 데이터와 48비트의 초기화 벡터 값을 암호화 키로 사용
- 패스프레이즈
- 키 = 패스프레이즈(사용자가 지정한 문자열) + 초기화벡터(조금씩 변화는 값)
- 암호화는 쉽고, 복호화는 어렵다
- WEP보다는 강력하나 WPA2로 대체
- WPA2
- 블록 암호화 방식을 사용
VPN(Virtual Private Network)
통신 거점간의 통신을 통째로 암호화하는 방식하므로 app별로 암호화하지 않아도 됨
- IPSec(Security Architecture for Internet Protocol)
- 통신 세션의 각 IP패킷을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안전한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
- 통신 세션의 개별 IP 패킷을 인증하고 암호화함으로써 처리된다. IPsec은 세션의 시작에서 에이전트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확립하거나 세션을 맺는 중에 사용될 암호화 키의 협상을 위한 프로토콜을 포함
- PPTP(Point to Point Tunneling Protocol)
- TCP 포트 1723에서 작동하는 PPTP는 Windows 95 이후 모든 Windows 버전에서 표준으로 사용
- 가장 오래된 VPN 프로토콜
- PPP(Point-to-Point Protocol, 지점간 프로토콜)이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캡슐화하기 위해 Microsoft의 주도 하에 개발
- 가장 대중적이고 설치하기 쉬우며 계산 속도가 빠른 프로토콜 중 하나
- 오디오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과 같이 속도가 가장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이나 보다 제한적인 프로세서가 장착된 느린 구형 장치에서 유용
- 심각한 보안 취약성
- 기본 인증 프로토콜(보통 MS-CHAP-v1/v2)은 근본적으로 안전하지 않으며 PPTP가 도입된 이후 보안 분석에서 반복적으로 해제
'CS📟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 스터디 -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(0) 2022.10.14 [CS 스터디] 운영체제 개요 (1) 2022.10.07 [TCP/IP]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(0) 2022.09.04 [TCP/IP] 인터넷 계층 (0) 2022.08.28 [TCP/IP] 트랜스포트 계층 (0) 2022.08.20